중산층? 증위소득
중산층의 기준은 무엇일까? 어느 정도의 재산이나 소득이 있어야 중산층이라 생각할까? 주변을 둘러보면 꽤 많은 재산과 소득을 누리고 있음에도 중산층이라 자처하는 이들은 보이지 않는다. 대개가 다 자신들을 서민으로 여기는 듯하다. 과연 중산층은 어떤 사람들일까?
중산층을 이야기하려면 중위소득을 알아야 한다.
중위소득은 총가구를 소득순으로 순위를 매겨, 정확히 중간을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중산층 가구 비중을 고려할 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준을 따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따르면 중위소득의 ........50~150%를 중산층(출처 : 에듀윌 시사상식중위소득 - Daum 백과)
중위소득
중위소득은 총가구를 소득순으로 순위를 매겨, 정확히 중간을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한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가계 동향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전년도 중위소득 수치에 과거 평균 증가
100.daum.net
백과사전에서 정의한 중산층
"중산층이란 경제적 수준이나 사회문화적 수준이 중간 정도되면서 스스로 중산층 의식이 있는 사회 집단으로 경제기획원은 소득수준, 주택보유 여부, 직업의 안정성 및 학력으로 중산층의 기준을 설정(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중산층 - Daum 백과)"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중산층의 기준은 조금 모호한 부분도 있다.
[2022년 7월 27일 전남매일에 실린 [한은경의 심리학 교실] "당신은 중산층입니까?"에서 필자는 중산층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중산층 정의 기준(중위소득의 50%~150%)을 적용해오고 있는데, 2022년 기준으로 자녀가 둘인 4인 가구의 중위소득이 512.1만원임을 감안하면, 월소득 수준 256만원~768만원까지가 실질적인 중산층에 해당한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이 체감하는 중산층의 기준은 이를 훨씬 더 우회하는데, 실질적으로 상위 10% 이내의 소득과 자산을 가지고 있어야 자신을 중산층으로 보고한다고 한다..(출처 : 전남매일 (jndn.com))
[한은경의 심리학 교실]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한은경의 심리학 교실]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코로나 19의 그늘로부터 벗어나고 있는 요즈음 극심한 양극화 물결이 사회 곳곳에서 밀려오고 있다. 주식이나 부동산의 가치 변화에서부터 체감하
www.jndn.com
그럼 10년 전의 중산층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은 어떠했을까?
2012.08.09일자 해럴드 경제 하남현 기자가 쓴 기사를 보자. 타이틀에 “월 500만원은 벌어야 중산층” 57%이고 부제로 월평균 소득 압도적 답변, “400만~499만원”은 22%(출처 : "월 500만원은 벌어야 중산층” 57%"- 헤럴드경제 (heraldcorp.com)이라고 했다.
“월 500만원은 벌어야 중산층” 57%
월평균 소득 압도적 답변“400만~499만원”은 22%우리나라 사람들은 적어도 한 달에 500만원(세전 기준) 정도의 소득은 올려야 중산층에 속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중산층에 해당
biz.heraldcorp.com
하남현 기자는 "적어도 한 달에 500만원(세전 기준) 정도의 소득은 올려야 중산층에 속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30대, 자영ㆍ상공업자 및 화이트칼라, 고학력자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득이 높고 경제활동을 왕성하게 할수록 주관적인 중산층의 소득 수준을 더 높게 잡은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2012년 사람들이 바라본 중산층의 기준은 월 소득 500만원 내외면 충족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현재의 중산층이란 2022년 8월 5일자 매일경제 문재용 기자의 기사(상위 층·중산층 어떻게 비교했나)에 따르면 '상위 10% 가구와 중산층 60% 가구의 자산·소득·지출 비교는 통계청의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출처 : 상위층·중산층 어떻게 비교했나 [WEALTH] - 매일경제 (mk.co.kr))'이다.
상위층·중산층 어떻게 비교했나 [WEALTH]
상위 10% 가구와 중산층 60% 가구의 자산·소득·지출 비교는 통계청의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통계청은 매년 약 2만가구를 대상으로 설문과 각종 행정 데이터
www.mk.co.kr
현대인들이 기대하는 중산층은 허상인가?
그렇지만 요즘 사람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기준도 정부에서 비교한 60%와는 괴리가 있는 듯 하다. 500만원이면 중산층이라고 생각했던 10년 전의 사람들처럼 명확한 기대치를 가지고 살 수 있었으면 싶지만 모든 것이 얼키고 설킨 불확실성의 시대에 중산층이란 질문은 대답하기 난해한 문제이다.
포스트 21저널에 나온 글로 이 이야기를 마치고자 한다. "중산층이란 중간 정도 사는 계층을 뜻하는 것일지도,....전국민의 통계의 중간이 아니라 내 주변의 사람이 기준일 수도.....비교적 주관적인 개념일 수도"(출처 : 포스트 21저널 https://blog.naver.com/gx198/222649317851)
나는 과연 중산층에 해당될까? 중산층이란 무엇일까?
[포스트21 저널=편집부] 우리는 흔히 ‘나 정도면 중산층이야’라는 말을 하고는 합니다. 혹은 ‘나...
blog.naver.com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시다 총리, 일본은 다시는 전쟁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 (6) | 2022.08.17 |
---|---|
광복절 일본은 '너희 일본인은 화가 나지 않는가' (0) | 2022.08.17 |
수퍼문이래요. 원주에서.... (2) | 2022.08.12 |
원주 저녁 무렵 (0) | 2022.08.12 |
비 그친 뒤 더 선명해진 치악산 (6) | 2022.08.10 |